AWS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앞서, 3가지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야한다.
- Network (VPC)
- 클라우트 컴퓨팅 (EC2)
- 엑세스 관리 (IAM)
ㅁ VPC
클라우드의 가상 네트워크 환경.
IP , 라우팅, 게이트웨이 및 보안설정 등을 담당하며, 리전 내에 위치한다.
※ 리전 :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센터들이 모여있는 위치
리전 내에 위치하나, 가용영역 (AZ) 기준으로 구분하여 여러개의 VPC를 가질 수 있다.
※ 가용영역 : 리전내에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데이터센터
ㅁ EC2
AWS에서 제공하는 독립된 클라우드 컴퓨터 서비스.
아마존 머신 이미지 (AMI) 기반으로 인스턴스를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,
CPU, 메모리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의 리소스 사용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인스턴스를 제공한다.
인스턴스 스토어위에서 올라가기 때문에, 종료시 데이터가 사라진다.
저장이 필요한 파일은 EBS에 두고, S3 버킷에 정적 컨텐츠나 로그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.
ㅁ IAM
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는 엑세스 권한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서비스
AWS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,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로 공부하려한다.
시나리오 1. WEB - WAS - DB 3티어 시스템 구성해보기
기존에 도커를 공부하며 구성해두었던, API 서버 아키텍쳐를 그대로 사용하려한다.
( WEB - 리퀘스트를 WAS 서버로 포트포워딩 / WAS - API 서버 / DB - 업무 데이터 저장 )
예상되는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고, 4/5/6 단계는 시나리오 2에서 진행하려 한다.
1. 리전을 선택하고
2. VPC 생성
3. 퍼블릭 / 프라이빗 서브넷 결정
+ 퍼블릭 : 주로 웹서버로 인터넷에 연결 필요
+ 프라이빗 : 백단 소스, DB 등. 보안그룹 설정필요 4. ELB를 통해 로드밸런싱 5. Auto Scaling 설정 ( Scale up / Sacle out ) + Scale Up은 지원 안하는가? 6. Route 53을 통해 도메인 서비스 제공가능.
7. 비용처리 정책
8. 로깅 정책 -> S3로 저장
9. 백업 정책 -> EBS ( 부팅 및 데이터 볼륨 ) , 스냅샷은 S3에 저장
※ WEB은 Public Subnet, WAS/DB 는 Private Subnet에 두고
사용자 및 각 인스턴스 간 커넥션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 생각해보며 진행할 것
시나리오 2. 고가용성 설정 및 부하 테스트, 로그 확인
시나리오 1에서 구성한 시스템에 고가용성 및 서비스를 위한 설정들을 추가할 예정이다.
- ELB : 트래픽 분산
- Auto Scaling : 시스템 부하 시, 서버를 추가하여 서비스 안정화
- Route 53 : DNS 등록
설정 추가 후, 부하테스트를 통해 작동여부를 확인하고 AWS Cloud Watch 를 사용해보고자 한다.
시나리오 3. Iac ( Infrastructure As Code ) 적용
Iac : 코드를 통해 인프라 환경 구성 및 관리 자동화를 수행
환경 구성 간편화 및 개발/운영간 환경의 일관성이 유지된다.
대표적인 툴로는 AWS CloudFormation, Terraform, Ansible 등이 존재하는데
한번씩 사용해보고 차이점을 서술할 예정이다.
'IT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5) EC2 시스템간 연결 (0) | 2021.11.08 |
---|---|
(4) EC2 원격 접속 ( 작성중 ) (0) | 2021.11.07 |
(3) EC2 / WEB-WAS-DB 세팅 (0) | 2021.11.05 |
(2) 인터넷 게이트웨이 및 라우팅 테이블 설정 (0) | 2021.11.03 |
(1) VPC , 서브넷 및 EC2 생성 (0) | 2021.11.03 |